Mojé Assefjah
b.1970, 테헤란, 이란
1999 회화 및 그래픽 아트 학위 수료, 뮌헨 미술원, 뮌헨, 독일
1992-98 회화 전공, 뮌헨 미술원, 뮌헨, 독일, 지도교수 Jerry Zeniuk
1991-92 일본어 및 스페인어 전공, 루트비히-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 뮌헨, 독일
b.1970, Teheran, Iran
1999 Painting and Graphic Arts at the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Munich, Germany
1992-98 The study of painting at the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Munich, honour student of Prof. Jerry Zeniuk Jerry Zeniuk
1991-92 Language studies of Japanese and Spanish at the Ludwig-Maximilians Universität, Munich, Germany
나에게 각각의 작품은 하나의 비전이자 풍경이고 뷰다. 마치 열려 있는 창문을 통해 그리운 장소를 보는 것과 같다.
나는 전통적 에그 템페라 기법을 고수한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예술에 대한 나의 기술적, 이론적 관심이 고대 페르시아 예술의 신비로운 아름다움과 함께 표출된다.
자유로운 붓의 제스츄얼이 스스로 거대한 리본 형태를 만들어 낸다. 그 리본들은 때로는 어둡고 때로는 밝게 그 빛깔을 자아낸다. 춤을 추는 듯한 붓의 스트로크는 페르시아 전통 캘리그라피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관객들은 내 작품을 통해 식물 혹은 꽃을 연상시키는데, 카펫 장식이나 바로크 시대 직물에서 보는 패턴들과 닮았다.
여러 겹으로 겹쳐진 풍경들이 깊이감을 더하며, 투명하면서 동시에 불투명하게, 가까우면서도 멀게 그 모습을 드러낸다. 나는 내 작품을 통해 추상과 구상을 오가는, 마치 꿈을 꾸는 듯한 풍경들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
작가노트
Each painting is to me a vision, a scene, a view. They are an invitation for the eye to look through a window opened to a nostalgic space.
I use the traditional egg-temepera medium. My interest for the Italian Renaissance, be it technical and theoretical, is infused with the mystical beauty of the visual productions of Ancient Persia. The free gesture inscribes itself through wide ribbons that vary between dark and light colours. The flexibility of the movements and the strokes calls to mind Persian calligraphy. The spectator might sometimes see vegetal , floral, plant forms, which are quite visible in bold floral pattern of early carpet design and othertimes might see baroque drapery.
The spaces are built by the dialectic between opacity and transparency, closeness and distance, putting layers over layers to construct the depth. I would like to tell stories of dreamed landscpes between abstraction and figuration.
Artist Stat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