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1979, Korea, lives and works in Seoul
한국 출생, 서울에서 거주하며 활동 중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소전공 박사 졸업 Ph.D. Department of sculpture,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영국 런던예술대학교 미술학 석사 졸업 M.F.A. UAL Chelsea college of Arts, London, UK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소과 석사 졸업 M.F.A. Department of sculpture,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홍익대학교 조소과 졸업 B.F.A. Department of sculpture,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김병주는 레이저 커팅으로 정교하게 절단된 격자(grid) 형태의 철제 부조 시리즈를 통해 새로운 차원의 공간을 표현한다. 보는 관점에 따라 안과 밖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김병주의 격자 구조물 은 내 외부의 경계를 만드는 동시에 해체한다. 홍익대학교 조소과 및 동 대학원을 거쳐, 영국 런던예술대학교 미술학 석사, 홍익대학교 조소과 박사를 수료한 작가는 2021, 2022년 아트마이애미 참여뿐만 아니라 2022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인전을 가지며 국내외 미술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시립미술관, 포항시립미술관 등 국내 주요 미술기관뿐만 아니라 인천국제공항 제 2터미널에 대형 부조 작품이 소장 및 전시되어 있다.

Kim Byung-Joo expresses a new dimension of space through a series of laser-cut steel reliefs in the form of a grid. Kim Byung-Joo’s grid structure "Ambiguous Wall",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becomes ambiguou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simultaneously creates and dissolves the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artist, who graduated from the Faculty of Sculpture at Hongik University, UAL Chelsea University of Arts in London, England, with a Master in Fine Arts and a PhD in Sculpture from Hongik University, continues to be active i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art world by not only participating in Art Miami 2021 and 2022, but also having a solo exhibition in Montreal, Canada in 2022. . Large reliefs are collected and exhibited at major art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rt Bank, the Seoul Museum of Art and the Pohang Museum of Art, as well as Terminal 2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나의 작업은 구조체적 반 구조체를 형성하는 그리드의 역할과 경계의 모호함으로 발생한 공간개념의 지각 및 인지 방식의 변화, 빈 공간의 입체성에 시간성을 담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Ambiguous wall’ 부조 시리즈 작업은 3차원의 입체적 구조물을 2차원적 시각으로 함축시키며 새로운 차원의 공간을 창조해 낸다. 넓이와 높이는 존재하지만 그에 상응하는 부피감은 존재하지 않는 구조물은 공간과 공간이 중첩하고 서로 충돌하며 그 안에서 새로운 공간을 생성해 낸다. 안과 밖의 경계가 모호해진 그리드는 외부와 내부를 단절함과 동시에 연결시키고 있다. 즉 작품 속 그리드들은 경계를 생성하는 동시에 해체시킨다.

종전의 부조 시리즈 작품들이 사각의 배경색과 어우러져 그 형태를 한번에 알아볼 수 있던 것과 달리 ‘Ambiguous wall-Symmetry’ 시리즈는 스케일을 키워 전시장 벽면에 직접 설치되어 작품의 형태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작품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관람객의 움직임으로 매 순간 새롭게 탄생하는 그리드 사이에 시간과 기억이 스며들며, 과거의 흔적과 현재의 재구성 그리고 이를 통한 관람자의 개별적인 자아와 기억에 대한 반추를 유도한다. 건축물의 형태를 내포한 그리드의 조형성을 빌어 모호해진 공간에 매 순간이 스며들고 빈 공간과 함께 변화하고 있다.

그리드로 인해 탄생한 빈 공간, 네거티브 스페이스에 담아낸 시간성, 그리고 그리드와 함께 변화하는 시간의 중첩과 감상 과정에서 얻어지는 정지된 시간은 의미작용의 연쇄가 일어나는 지점이자 영속성의 발현으로 다층적 순간의 영원한 지속이다.

작가노트 2023


My work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that incorporates temporality into the three-dimensionality of empty space, as well as a change in the perception and cognitive methods of spatial concepts caused by the role of the grid in the formation of structural and semi-structural structures and the ambiguity of boundaries.

The work of the relief series "Ambiguous wall" condenses three-dimensional structures into a two-dimensional perspective and creates a new spatial dimension. In a structure that has width and height but no corresponding volume, the space overlaps and collides with each other, creating a new space within it. The grid,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are blurred, simultaneously separates and connects outside and inside. In other words, the grids in the work simultaneously create and dissolve boundaries.

In contrast to the previous works in the relief series, in which the form was immediately recognizable because it merged with the background color of the square, the 'Ambiguous wall-Symmetry' series was enlarged to scale and installed directly on the wall of the exhibition hall, so that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form of the work, one had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it. A process of adaptation is required. Time and memory permeate the grids, which are recreated by the movement of the viewer at every moment, leading to traces of the past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present, and thus to reflection on one's own self and memories. Taking advantage of the formative character of the grid, which contains the shape of the building, each moment permeates the ambiguous space and changes together with the empty space.

The empty space created by the grid, the temporality contained in the negative space and the time held in suspension by the process of superimposition, and the grid's appreciation of changing time are the points at which a chain of meaning and the expression of permanence emerge, creating an eternal, multi-layered moment. It is continuous.

Artist Note 2023

Exhibition & Fair
  • Ambiguous wall-Symmetry B3939-S140, 140 x 140 x 28 cm, Laser cut steel, Urethane paint, 2024,

    Kim Byung Joo

    Inquire
  • Ambiguous wall-Symmetry R287, 77 x 244 x 20 cm, Laser cut steel, Urethane paint, 2020

    Kim Byung Joo

    Inquire
  • Ambiguous wall-Symmetry 156-240, 76 x 240 x 22 cm, Laser cut steel, Urethane paint, 2021 (Edition 1/3)

    Kim Byung Joo

    Inquire
  • Ambiguous wall-Symmetry G126, 76 x 233.5 x 18 cm, Laser cut steel, Urethane paint, 2019 (Edition3/3)

    Kim Byung Joo

    Inquire
  • Ambiguous wall-Stairs Y1;3, 68 x 90 x 12cm, Laser cut steel, Urethane paint, Acrylic board, 2019

    Kim Byung Joo

    Inquire
  • Ambiguous wall-Stairs R1;3, 68 x 90 x 12cm, Laser cut steel, Urethane paint, Acrylic board, 2019

    Kim Byung Joo

    Inquire
  • Ambiguous wall-Stairs P1;3, 68 x 90 x 12cm, Laser cut steel, Urethane paint, Acrylic board, 2019

    Kim Byung Joo

    Inquire
  • Ambiguous wall-Stairs G1;3, 68 x 90 x 12cm, Laser cut steel, Urethane paint, Acrylic board, 2019

    Kim Byung Joo

    Inquire
Your inquiry has been received.

Gallery Joeun will reply in 2-3days.
Please check your email inbox,
including the spam box. Thank You.

문의가 접수되었습니다.

2-3일내에 회신 드리겠습니다.
스팸메일함을 포함하여 메일함을
모두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