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영 Chun Kwang Young
조나단 굿맨 평론
닥종이로 감싼 수백 개의 개별 요소로 완성된 전광영의 추상적 구성은 서구와 아시아 예술 간의 틈새를 멋지게 이어 준다. 일반적 양식의 구상미술에서 동서양의 관점이 만나기란 예 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불가능한 일에 가깝다. 가장 최근 들어 여러 세대에 걸쳐 전통적 인 유화에 대한 큰 관심을 지켜본 바로는, 모든 곳 가운데 중국 본토의 예술가들이 매체뿐 아니라, 서구적으로 보이는 리얼리즘을 표현하려는 시도에 푹 빠졌다. 이제는 아시아 예술 가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추상 표현에 참여하기가 훨씬 쉬워졌다. 추상 표현은 서구 모 더니즘과 함께 시작했지만,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여기에는 추상 훈련이 위대한 공감 및 기 교와 함께 이뤄지는 아시아도 포함된다. 전광영의 예술은 3~4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서구 문화를 끌어안지만, 서울에 기반을 둔 그가 자신의 작품에서 아시아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는 말은 아니다. 전광영의 예술을 구성하는 재료인 뽕나무 잎은 그의 자전적 일대기 와 관련이 있다. 뽕나무 잎은 전광영 가족이 운영하던 약방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그의 어릴 적 기억과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예술가로서의 전광영에 대한 가장 강력한 지점은 추상적 이면서 때때로 기하학적인 형태로 작품을 만들려는 그의 결정이다. 그 형태는 서양의 비구 상적인 시각 문화에 대한 현재 진행형의 지식을 반영한다.

전광영은 미국을 여러차례 방문했기 때문에 뉴욕과 같은 예술의 중심지에서는 아주 일상적 인 추상 표현에 익숙하다. 이곳의 예술계가 전광영의 작품에 강한 관심을 피력했다. 이 작 품들에는 그가 고안한 각각의 조각 작품을 이루는 무수한 구성 요소를 일컫는 말인 '집합 (Aggregates)'이라는 명칭이 붙기도 한다. 다양한 색채와 모양을 갖는 전광영의 낮은 양감 (Low reliefs)은 회화와 아주 비슷해 보일 수 있다. 낮은 양감과 직사각형 모양, 갤러리 또는 박물관 벽에 그림처럼 걸리는 밀착감 등을 특징으로 봤을 때, 기타 작품들은 한층 더 조각품 같다. 덜 선명한 색조의 평평한 면에서 파낸, 밝은 색깔의 둥근 수조로 이뤄져 있는 것이다.

전광영 스타일에서 보이는 진정한 재능은 믿기 어려운 표면 처리로, 작품 외부와 그 외부의 복잡다난한 부분을 가로지르는 변화무쌍한 시선이 특징이다. 이 추상의 파사드(표면)는 어 떤 면에서 20세기 미국의 비구상화와 관련 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지금은 이미 인정받 은 아시아의 추상 표현, 특히 작품의 텍스처와 마무리를 강조하는 경향을 띠는 한국적 표현 과 연관이 있다. 전광영의 주목할 만한 창의적 노력이 드러나도록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무 엇이든 간에, 전광영 자신의 고유한 발명품이고, 서양이나 한국의 어느 곳, 어느 누구의 작 품과도 닮지 않았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는 개인주의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에 대해 아시 아 예술을 우아하게 승화시킨 것이라 여길 필요는 없다. 작품은 멋지게 자기 역할을 해내어 눈에 띄는 전시가 되었다.

전 세계 예술가들끼리 주고받은 특별한 강렬함과 수많은 문화 정보를 놓고 볼 때, 사람들이 서로 간에 차용한다는 말은 상식이 되었다. 즉, 예술은 더 이상 지역이나 문화로 쉽게 구별 될 수 없다는 말이다. 아프리카의 어느 큐레이터가 논평했듯이, 더 이상 아프리카 예술은 없 고 아프리카에서 유래한 예술만 있을 뿐이다. 전광영의 작품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반드시 한국적으로 보일 필요는 없고, 그저 특징 중 하나인 것이다. 관람자로서 우리는 문화적 편견 에 빠지지 않는다. 그 편견으로 문화적 경계선이 고정되면 작품이 고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예술 세계에서는 한국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은 더 이상 하지 않는다. 예술 세계에서는 작품 양식을 서로 맞 바꿀 수 있고, 기원이 어디인지 따지지 않는다. 대신, 전광영의 작품 속에서 수없이 맞물리 는 요소들은 현재 예술 세계를 구성하는 개별 스타일과 사람들을 걸출한 모자이크 방식으로 언급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전광영의 '집합(Aggregations)'은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 진 것이 아닐지도 모르나, 우리 시대의 시각적 환경을 아주 근사하게 보여 주는 방법으로 여기는 것은 흥미롭다.

공식적으로 그의 작품은 손으로 빚어낸 절묘한 솜씨를 분명하게 드러낸다. 조각품들은 때때 로 생물학적 형태를 옹호한다. 세포와 바이러스의 밝은 색조는 실제 과학에서 발견된 표본 과 관련 있어 보인다. 이런 방식으로 전광영은 자신의 추상이 얼마나 비구상으로 보이느냐 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추상(실제로는 예술 추상 전부)은 자연과 연결되어 있음을 완전히 부 정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리얼리즘과 비구상 예술 간의 경계는 보이는 것보다 훨씬 빈틈이 많다. 그렇다고 해도, 전광영 작품의 생물학적 틀과 암시가 작품에 대한 우리의 첫인상을 바꾸지 는 않는다. 즉, 이 작품은 스스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고, 추상이라고 스스로 결정을 내 리면서 예술이 되었다. 하지만 예술은 언제나 문화적 구성물로, 바깥 세계와의 접촉을 통해 힘을 얻는 것이 당연하다. 추상은 그 자체에 대한 것일 뿐이라고 말할 수 없을지라도, 전광 영은 스스로 만든 표현 방식을 종합적으로 포함하려 노력하기에 그 고유한 특성을 즉각적으 로 알아차릴 만하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이상적인 형태를 표현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말이 다. 예상한 대로, 사실성과 추상적 대조 간에는 긴장, 심지어는 모순이 있지만, 전광영의 조 각품에는 이 비중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대신 작은 형태를 모아 전체 구성을 발전시킨 표현 방식을 볼 수 있다. 작은 형태를 하나하나 자세히 보면 흥미롭고 그 자체가 드러난다.

전광영의 모든 작품이 갖는 중요한 다른 일면은 기교에 대한 끈질김이다. 현재 미국의 예 술 세계는 합리성과 정치성을 띤다. 일반적인 관행이 필요하다고 여겨지지 않을 때가 있거 나, 이해조차 되지 않을 정도다. 전광영의 조각품들에 보이는 기교는 암시 면에서 전통적 이지도, 장식적이지도 않지만 그의 작품 구조에서 뗄 수 없는 부분이다. 한국 현대미술에 서 기술적인 기법은 대개 이목을 끄는 데 중요한 부분이고, 전광영의 경우에도 해당된다. 그럴지라도, 전광영이 기교적이기만 한 표현 방식으로 옮겨 갔다는 의미는 아니다. <집합 (Aggregations)> 연작의 힘은 일반적인 지능, 즉 형태의 독자성뿐 아니라, 복잡성을 위한 단 순성의 거부와 관련이 있다. 작품들을 한 그룹으로 다 같이 미술관에서 전시함에 따라, 흰색 정육면체 모양의 중립적인 공간이 마법적인 곳으로 바뀐다. 이곳에서 조각품들은 예술의 공 식적인 가능성에 대한 토론의 주제가 된다. 기교는 전광영이 대화를 발전시키는 수단이다. 재료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의 내력으로 말미암아, 어떤 예술이 될 수 있을 것인가 하 는 이상적인 비전을 드러내는 작품에 대한 개인적인 취향이 드러난다.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추상과 구상, 지성과 감성 사이에 존재하는 외견상의 모순으로 인해 작품은 모양을 바꾼 다. 그야말로 우리가 감탄해 마지않는, 게다가 그 온전성이 존경스러운 하나의 전체로 모양 을 바꾸는 것이다. 조나단 굿맨